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일반상식

[고수레]고시래, 고시네, 고시레의 유래, 어원과 의미 및 뜻 알고 사용합시다.

by 이안.kim 2023. 5. 8.
반응형

고수레

Q. 고시네, 고시레, 고씨네의 표준어는 무엇일까?

연세가 있으신 분들이 고수레 하며 음식의 일부를 떼어내어 허공에 던지고 들이나 산에서 식사를 하시는 모습이 기억납니다.  지방에 따라 고시네, 고시레, 고씨네 하며 사용하셨던 단어의 표준어는 고수레입니다.

 

Q. 고수레라는 단어의 유래 및 어원은?

단어 생성시기는 고조선 시대로 단군왕검의 시대로 서기전 2333년경에 생긴 것으로 유추되고 있으며 단군이 태어나기 전 단군의 아버지 환웅이 세상을 다스릴 때 환웅이 환인의 명을 받아 세상에 내려오게 됩니다.

 

세상에 내려와 보니 사람들이 사는 게 아직도 곡식을 심고 농사를 짓는 방법을 몰라 먹을 것을 헤매 다니는 모습이 안타까워 고시씨에게 곡식을 주관해서 사람들을 먹여 살리도록 명하게 됩니다.

 

고시씨는 세상 사람들에게 곡식을 심어 농사를 짓고 짐승을 가두어 가축으로 기르는 방법을 가르쳐 주게 되어 먹고살기 좋아진 덕을 생각해 고시씨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집 밖에서 음식을 먹을 때 예의를 표합니다.

 

Q. 고수레하는 방법은?

고시씨에 대한 감사와 예의를 표하는 방법으로 지방마다 비슷하게 내려오고 있습니다. 어르신들이 산이나 돌 같은 밖에서 음식을 먹을 때 음식의 일부를 떼어내 고수레~ 하며 예의를 표한 것처럼 하면 됩니다.

 

Q. 고시씨가 했던 다른 일들은?

고시씨는 세상사람들에게 농사짓는 방법과 짐승을 잡아 가축으로 기르는 방법들을 알려주어 보다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어가는데 또 다른 문제가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사람들이 음식을 날것으로 먹는 것이었습니다.

 

음식을 날것으로 먹는 것을 걱정하여 불을 가르쳐 음식을 익혀 먹을 수 있도록 하였고 시간이 흘러 단군왕검시대에 부소씨가 마른 쑥을 재료로 쇠와 돌을 부딪쳐 좀 더 쉽게 불을 일으킬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게 오늘날의 부싯돌의 어원으로 부소씨에 대한 감사함을 담아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우리나라의 고유 신화엔 신화나 역사가 존재하는데 알고 보면 더욱 재밌는 우리말입니다.

반응형

댓글